히라가나 - 해당되는 글 9건

한글 윈도우 XP에서 일본어 입력하기

1. 일본어 입력기 설치하기

일본어 입력기는 기본적으로 XP에 내장되어 있다. 설치 방법은 다음과 같다.

시작버튼을 누른 후 설정-제어판에서 국가 및 언어 옵션을 연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국가 및 언어 옵션의 두 번째 탭인 언어탭을 클릭한다. 그 다음 자세히 클릭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추가를 클릭하여, 일본어를 선택하여 추가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확인을 눌러 설정을 마무리한다.


2. 한국어 입력모드와 일본어 입력모드 전환

모니터의 오른쪽 구석에 보면 태극기가 그려져 있는 이상한 상자가 보일 것이다. 이것을 IME(입력기)라고 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 마우스를 이용해 입력모드 전환하기

마우스를 이용해 IME [KO]를 클릭하면, 아래 그림과 같이 한국어 입력기가 일본어 입력기로 바뀐다.

) 키보드를 이용하기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키보드 왼쪽의 alt를 누른 채 shift를 누르면, 일본어 입력기로 바뀐다. 한국어 입력기로 돌아가고 싶으면 또 한번 alt shift를 누르면 된다.

 

이때, 확인해야 할 사항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왼쪽에서 세 번째 아이콘이 로 되어 있는가와 ‘KANA’가 비활성화 되어있는가 이다. 1). ‘라는 아이콘은, 전각 히라가나로 입력된다는 뜻을 가진 아이콘으로(알파벳을 치면 히라가나로 입력된다), 만일 이 아이콘이 로 되어 있다면 가타카나로 입력되어 원활한 일본어 입력이 불가능해진다. 물론 가타카나만 입력하고자 한다면 상태로 해야 하지만, 보통의 일본어 입력 작업에서는 히라가나나 한자를 입력하는 일이 훨씬 많기 때문에 상태는 불필요하다.

(히라가나 입력 상태에서 가타카나를 입력하고자 한다면, 우선 히라가나로 입력한 후, 키보드의 F7을 누르면 히라가나가 가타카나로 변환된다). 그밖에, ‘상태는 전각 알파벳 입력 상태이며, ‘_는 반각 가타카나, ‘_A’는 반각 알파벳(우리가 보통 쓰는 알파벳)입력 상태이다.

 

2). ‘KANA’는 일본어를 알파벳으로 입력하지 않고, 한글 자판 처럼, 고유의 일본어 자판으로 입력하는 방식으로, 일본어 자판을 외우고 있거나, 일본어 키보드가 아니라면 입력하기가 어려우므로 사용하지 않는다.

 

3). 단축키

Alt(왼쪽) + Shift(왼쪽) : 일본어-한국어 입력상태 전환

Ctrl(오른쪽) + Shift(왼쪽) + Caps Lock : 로마자입력-일본어키보드직접입력 전환

Alt(왼쪽) + `~(esc의 바로 아래에 있는 물결무늬 키) : 히라가나-반각알파벳 전환


3. 일본어 입력하기

) 일본어(히라가나, 가타카나)는 알파벳(로마자)으로 입력한다.

1). 모음은 a, e, i, o, u로 입력한다.

2). 자음은 k, s, t, n, h, m, r, b, p로 입력한다.

3). 반모음은 y로 입력한다.(=ya, =yu, =yo)

4). 촉음은 y로 입력한다.(きゃ=kya, きゅ=kyu, きょ=kyo )

5). wa, wo로 입력한다.

6). 행은 g로 입력한다.

7). 행은 z로 입력한다.( ji, zi를 모두 쓸 수 있다)

8). 행은 d로 입력한다.(특히 ji로 발음되지만 di, zu로 발음되지만 du로 입력해야 한다)

9). 행은 b로 입력한다.

10). 행은 p로 입력한다.

11). 소문자 우리의 사이시옷 같은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がっこう각고우, はっしん핫신, せっぷく셉푸쿠, やった얏타로 읽힌다.

다시 말하면, 자음을 앞 모음의 받침으로 사용한다는 말이다. 따라서, 자음을 한 번 더 쳐주면 를 입력할 수 있다.

がっこう=gakkou             せっぷく=seppuku           やった=yatta

12) n을 두 번 입력한다(행과의 혼동을 막기위해)  はっしん=hassinn

13) 소문자 히라가나를 입력하려면, 앞에 l이나 x를 붙인다. はぁ! あぁっ!



) 한자()는 히라가나로 입력한 후, 스페이스바를 눌러 나오는 후보 중에서 선택한다.

1). 学校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이 한자어는 がっこう라고 발음되므로, 일본어 입력 상태에서 알파벳 gakkou를 입력한다.

2). がっこう와 같이 히라가나 아래에 점선이 생길 것이다. 이 점선은 문자 입력이 아직 완료되지 않았다는 의미로, 이 때 스페이스바를 누르면 한자어로 변환 되고, 만일 내가 원하는 한자어가 아니라면 한 번 더 스페이스바를 누르자. 그러면 がっこう로 발음되는 한자어의 후보들이 뜰 것이다.

3). 원하는 한자어를 선택한 후 엔터를 치면 비로소 한자어가 입력되게 된다.

 

) 가타카나는 한자어와 마찬가지로,히라가나로 입력한 후 F7을 눌러 변환한다.

특히 외국어 발음을 보완하기 위해 만들어진 가타카나는 아래의 입력방법을 따른다.

ツァ tsa                           ファ fa               ウィ wi              ティtexi              フィ fi
ディ dexi                         トゥ toxu       ドゥ doxu        デュ dyu

ウェ we         シェ she       チェ che       ツェ tse     フェ fe     ジェ je

ウォ uxo       ツォ tso       フォ fo

 

Trackbacks  | Comments 
안녕하세요?
원래 9번째 행은 "야, 유, 요" 행이지만, 세개 밖에 없는 관계로
우선 라행을 설명하고, 다음에 몰아서 "야유요와오응"을 설명하겠습니다.
그럼 시작하도록 하죠.



               라   리   루   레   로
히라가나 : ら り る れ ろ
가타카나 : ラ リ ル レ ロ


1. 라
히라가나 ら는 良(어질 량)의 초서체에서 온 글자이다
가타카나 ラ는 良(어질 량)의 첫 두 획을 떼서 만든 글자이다

히라가나 り는 利(이로울 리)의 초서체에서 온 글자이다
가타카나 リ는 利(이로울 리)의 마지막 두 획(선칼 도)을 떼서 만든 글자이다

히라가나 る는 留(머무를 류)의 초서체에서 온 글자이다
가타카나 ル는 流(흐를 류)의 마지막 두 획을 떼서 만든 글자이다

히라가나 れ는 禮(예의 례)의 초서체에서 온 글자이다
가타카나 レ는 礼(禮의 약자)의 오른쪽 부분(방)을 떼서 만든 글자이다

히라가나 ろ는 呂(음률 려)의 초서체에서 온 글자이다
가타카나 ロ는 呂(음률 려)의 첫 세 획을 떼서 만든 글자이다

る와 ろ가 비슷한 모양을 하고 있어 외우기가 쉽지 않지만
留의 아랫부분(田)이 呂의 아랫부분(口)보다 복잡한 것을 상기한다면
약간은 외우기가 쉬울 듯 하며, 동사를 공부하기 시작하면, る로 끝나는
동사를 많이 접하게 되어 자연스레 익혀질 것이다.
Trackbacks  | Comments 
이번에는 일곱 번째 행인 마행에 대해서 알아보자



               마   미   무   메   모
히라가나 : ま み む め も
가타카나 : マ ミ ム メ モ


1. 마
히라가나 ま는 한자 末(말)의 초서체에서 온 글자이다.
가타카나 マ는 한자 万(한자 만:萬의 일본식 표기이다)의 변형이라는 설과
한자 末의 가로 두 줄을 변형시켰다는 설이 있다.

2.미
히라가나 み는 한자 美(미)의 초서체에서 온 글자이다.
가타카나 ミ는 한자 三(삼)을 변형시켜 만든 글자이다.
(3을 일본 고유어로 '미'라고 읽는다. ex)三菱(미츠비시))

3.무
히라가나 む는 한자 武(무)의 초서체에서 온 글자이다.
가타카나 ム는 한자 牟(소 우는 소리 모)의 첫 2획을 떼서 만든 글자이다.

4.메
히라가나 め는 한자 女(여)의 초서체에서 온 글자이다.
(나 행의 ぬ와 혼동하지 않도록 주의하자)
가타카나 メ는 한자 女(여)의 아랫부분을 떼서 만든 글자이다.

5.모
히라가나 も는 한자 毛(모)의 초서체에서 온 글자이다.
가타카나 モ는 한자 毛(모)를 변형시켜 만든 글자이다.

이번 시간의 한자들은 평이한 글자들이 많아 그리 어렵지 않게
공부할 수 있을 듯 하다.
Trackbacks  | Comments 

이번에는 여섯 번째 행인 하행에 대해서 알아보자



               하   히   후   헤   호
히라가나 : は ひ ふ へ ほ
가타카나 : ハ ヒ フ ヘ ホ


1. 하
히라가나 は는 한자 波(파)의 초서체에서 온 글자이다.
가타카나 ハ는 한자 八(팔)의 모양을 변형시킨 글자이다.
(일본어로 숫자 8을 치라고 읽는다)

히라가나 ひ는 한자 比(비)의 초서체에서 온 글자이다.
가타카나 ヒ는 한자 比(비)의 오른쪽 부분(방)을 떼서 만든 글자이다.

히라가나 ふ는 한자 不(부, 불)의 초서체에서 온 글자이다.
가타카나 フ는 한자 不(부, 불)의 첫 2획을 떼서 만든 글자이다.

히라가나 へ는 한자 部(부)의 초서체에서 온 글자이다.
가타카나 ヘ는 한자 部(부)의 오른쪽 부분(방)을 떼서 만든 글자이다.
(일본 고유어로 部를 헤라고 읽는다 ex 部屋:헤야)

히라가나 ほ는 한자 保(보)의 초서체에서 온 글자이다.
가타카나 ホ는 한자 保(보)의 마지막 4획(木 모양)을 떼서 만든 글자이다.

히라가나와 가타카나 へ,ヘ는 조사로 쓰일 때에는 '에'라고 발음하기도 하며
모양이 비슷해서 외우기 쉬울 듯 하다.


Trackbacks  | Comments 
이번에는 다섯 번째 행인 나행에 대해서 알아보자

               나   니   누   네   노 
히라가나 : な に ぬ ね の
가타카나 : ナ ニ ヌ ネ ノ


1. 나
히라가나 な는 한자 奈(나)의 초서체에서 온 글자이다
가타카나 ナ는 한자 奈(나)의 첫 2획을 떼서 만든 글자이다

히라가나 に는 한자 仁(인)의 초서체에서 온 글자이다
가타카나 ニ는 한자 二(이)를 변형해서 만든 글자이다
(숫자 2를 일본에서 に라고 읽습니다. 이치, 니, 산, 시...의 "니")

히라가나 ぬ는 한자 奴(노)의 초서체에서 온 글자이다
가타카나 ヌ는 한자 奴(노)의 오른쪽 부분(방)을 떼서 만든 글자이다

*ぬ(누)와 め(메)는 모양이 비슷해서 혼동하기 쉬운데,
め는 다음시간에 알아볼 女(여)의 초서체에서 온 글자이기 때문에
뒷부분이 꼬이지 않았고, ぬ는 奴(노)에서 온 글자이기 때문에
뒷부분이 又모양처럼 한 번 꼬였다 생각하면 외우기 좋을 듯 하다
ぬ-め : 奴-女

히라가나 ね는 한자 祢(아비사당 니)의 초서체에서 온 글자이다
가타카나 ネ는 한자 祢(아비사당 니)의 왼쪽 부분(변)을 떼서 만든 글자이다

히라가나 の는 한자 乃(내)의 초서체에서 온 글자이다
가타카나 ノ는 한자 乃(내)의 일부분을 떼서 만든 글자이다

이상 다섯 번째 행인 나행에 대해 알아보았다.
어려운 한자가 많고, 한자의 음이 우리와 좀 달라서 공부하기 힘들어 보인다.

Trackbacks  | Comments 
이번 시간에는 타행의 제자원리에 대해 알아보자.

우선 타행의 글자에는

               타    치  츠   테   토
히라가나 た ち つ て と
가타카나 タ チ ツ テ ト

가 있다.

1. 타
히라가나 た는 한자 太(태)의 초서에서 온 글자이며,
가타카나 タ는 한자 多(다)의 일부분을 떼서 만든 글자이다.

2. 치
히라가나 ち는 한자 知(지)의 초서에서 온 글자이며,
가타카나 チ는 한자 千(천)을 변형시켜 만든 글자이다.
(千의 일본의 고유어가 "치"이며, 千葉(치바), 千歳(치토세) 등에 쓰인다)

3. 츠
히라가나 つ는 한자 州(주)의 초서에서 온 글자이며,
가타카나 ツ는 한자 州(주)를 간단하게 만든 글자이다.
(일설에는 州가 아닌 川을 가지고 두 글자를 만들었다고 하는데, 확인해볼 일이다)

4. 테
히라가나 て는 한자 天(천)의 초서에서 온 글자이며,
가타카나 テ는 한자 天(천)의 일부분을 떼서 만든 글자이다.

5. 토
히라가나 と는 한자 止(지)의 초서에서 온 글자이며,
가타카나 ト는 한자 止(지)의 일부분을 떼서 만든 글자이다.
(일본어로 止는 그친다는 뜻을 가진 とまる、とめる로 읽힌다)


Trackbacks  | Comments 
이번에는 세 번째 행인 사행에 대해서 알아보자

               사   시   스   세   소 
히라가나 : さ し す せ そ
가타카나 : サ シ ス セ ソ


1. 사
히라가나 さ의 경우, 한자 左(좌)의 초서체에서 온 글자이다.
가타카나 サ의 경우, 한자 산(散)의 첫 3획을 떼서 만든 글자이다.

2. 시
히라가나 し의 경우, 한자 之(지)의 초서체에서 온 글자이다.
가타카나 シ의 경우, 한자 之(지)의 첫 3획을 떼서 만든 글자이다.

3. 스
히라가나 す의 경우, 한자 寸(촌)의 초서체에서 온 글자이다.
일본에서는 寸을 すん이라고 읽기 때문이다.
가타카나 ス의 경우, 한자 須(수염 수)의 마지막 2획을 떼서 만든 글자이다.

4. 세
히라가나 せ의 경우, 한자 世(세)의 초서체에서 온 글자이다
가타카나 セ의 경우, 한자 世(세)를 간략하게 쓴 글자이다.

5. 소
히라가나 そ의 경우, 한자 曽(증)의 초서체에서 온 글자이다.
일본에서는 曽을 そう라고 읽는다.
가타카나 ソ의 경우, 한자 曽(증)의 첫 2획을 떼서 만든 글자이다.

이상 사행의 제자원리에 대해 알아보았다.
어려운 한자들이 많아 공부하기에 힘들겠지만, 우선은 이런식으로
만들어지는구나..정도만 알아두어도 좋을것 같다.
Trackbacks  | Comments 
히라가나 가타카나의 두 번째 행인 카행에 대해서 알아보자

               카   키   쿠   케   코  
히라가나 : か き く け こ
가타카나 : カ キ ク ケ コ


1. 카
히라가나 か의 경우, 한자 加(가)의 초서체를 그대로 쓴 것이다.
일본어 발음 "카"는, 사실 한국어 "카"보다는 약한 발음이다.
정도로 따지자면
한국어 "카" -> 일본어 "카" -> 한국어 "가" -> 일본어 "가" 의 순으로
농도가 진해진다(느끼해진다)
이런 현상은 ㅌ,ㄷ 에도 적용되니 주의하도록 하자.
가타카나 カ는 한자 加의 왼쪽 부분을 떼어 만든 글자이다.

2. 키
히라가나 き는 한자 幾(기)의 초서체를 쓴 것이며,
가타카나 キ는 한자 幾의 가운데 직선 부분들을 떼서 만든 글자이다.

3. 쿠
히라가나 く는 한자의 久(구)의 초서체이며,
가타카나 ク는 한자 久의 왼 쪽 2획만 따서 만든 글자이다.

4. 케
히라가나 け는 한자 計(계)의 초서체이며
가타카나 ケ는 한자 介(개)의 일부분을 떼서 만든 글자이다.
(대나무 죽竹 을 일본에서 다케たけ라고 하는데, 필자는 이렇게 연상해서 외운 기억이 난다)

5, 코
히라가나 こ는 한자 己(기)의 초서체로 만들었다.(자기 기己를 일본어에서는 "코"로 발음)
가타카나 コ는 한자 己(기)의 첫 획을 떼서 만들었다.



참고
공부하는데 알아두면 좋을 한자들 : 加 幾 久 計介 己
Trackbacks  | Comments 
히라가나와 가타카나는 비슷한 모양이 많고,
갯수가 많아(100개 정도) 외우기가 쉽지 않다.
가장 확실한 방법은 최대한 많이 보고, 많이 쓰고, 많이 읽는 것이겠지만,
좀 더 쉽게 외울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 생각하곤 한다.
일본어 입문을 다루는 몇몇 학습서를 보면 가나의 모양을
사물에 빗대어 연상법으로 외우게 하는 것들이 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 잊어버리는 것은 마찬가지였다.

한글이 과학적인 글자로 세계에서 인정받는 이유 중 하나는,
그 제자원리가 직관적이고 납득할 만한 이유가 있기 때문이다.
특히 발성기관의 모양을 본뜬 자음의 제자원리는
한글을 처음 접하는 외국인도 몇시간만에 바로 외워서
읽고 쓸 수 있을 만큼 대단하다. 게다가 시간이 지나
한글을 잊어버렸다 해도, 발성기관의 모양을 생각하다보면
다시 기억이 되살아나는 경우도 있으니 감탄을 금할 수 없다.

그렇다면 일본의 가나(히라가나, 가타카나)는 어떨까?
얘들도 바보는 아닐진대, 무턱대고 문자를 만들지는
않았으리라 믿는다.(알파벳은?)
그럼 우선 50음도의 첫 번째인 아행을 살펴보자.

               아   이   우   에   오  
히라가나 : あ い う え お
가타카나 : ア イ ウ エ オ

삼국시대에 이두와 향찰이 있어 우리 말을 한자를 빌려 썼다고 배웠다.
그렇다.
일본의 가나도 한자를 빌려 일본어 발음을 나타내는 구조다.
특히 그 한자라는 것이 대부분의 사람들이 알고 있고, 그 발음이 간단하고 대표적인 것들이라 한국사람이 공부하기에도 그다지 어렵지 않다.

1. 아
히라가나 あ의 경우, 한자 安의 초서체를 그대로 쓴 것이다.
安의 일본어 발음은 한국 발음과 비슷한 あん(안)이며, 맨 앞 발음만 따서 "아'발음용으로 사용한다.
가타카나 ア도 한자 阿의 왼쪽 변을 떼어내서 만든 글자이다.

2. 이
い : 以의 초서체를 그대로 쓴 것이다.(다행히 발음도 우리와 같은 "이"이다)
イ : 伊의 인변 부분만 떼어내서 만들었다.(伊도 다행히 우리와 발음이 같다)

3. 우
う : 宇의 초서체의 갓머리 부분을 떼어내서 쓴 것이다.(이것도 우리와 발음이 같다!)
ウ : 宇의 갓머리 부분을 떼어내서 만들었다.(이하 동문)

4. 에
え : 衣의 초서체를 변형한 경우이다(의->에가 되므로 약간 이해하기 어렵다면,  "의"를 보통 한국어에서 "에"로 발음하는 것을 생각하면 편할 듯 하다.
エ : 江의 工부분을 떼어내서 만들었다.(일본어로 강江을 "에"라고 읽는다. ex)江戶=에도)

5. 오
お : 於의 초서체를 그대로 쓴 것이다.(일본에는 "어"발음이 없다.)
オ : 於의 方부분을 떼어내서 만들었다

결론
히라가나 : 대표한자의 초서체를 그대로 쓴 것이다.
가타카나 : 대표한자의 일부분을 떼어내서 만들었다.




오늘은 여기까지.

Trackbacks  | Comments 

ourcigar’s Blog is powered by Daum & tistory